블로그 이미지
시즈더데이
함께 잘 사는 세상이 오길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반응형
2020. 11. 4. 21:20 카테고리 없음
728x90
반응형


미국 대통령 선거 열기가 엄청 뜨겁습니다.
이미 투표는 완료됐고, 개표가 진행 중입니다만..
엄청 시끄럽습니다.
서로 이겼다고 주장하고 있고, 한 쪽은 개표를 중단하라고 하고..

뉴스가 엄청 쏟아지는 와중에 우리에게 낯선 말들이 자꾸 나옵니다.
선거인단이 어쩌고.. 확보가 어쩌고 저쩌고..
우리에게 낯선 이유라면..
미국 대통령 선거는 우리와 다른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무엇이 다를까요?

미국 대통령 선거는 1)간선제이며 2)승자독식주의 입니다.
미국 국민들의 투표는 미국 대통령에 대한 투표가 아니라, 선거인단에 대한 투표입니다.
각 주의 인구 수에 비례하여 선거인단의 숫자가 다른데요,

2020년 미국 대선 주별 선거인단 배정 수


여기 10명의 선거인단이 배정된 A라는 주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은 여기에 각각 10명씩 선거인단을 공천합니다.
그리고 A주 주민들의 선거 결과 공화당이 6명 민주당이 4명이 당선됐습니다.
그렇다면? A주에는 공화당 지지자 6명, 민주당 지지자 4명이 뽑히나요?
아닙니다. A주에는 10명의 공화당 선거인단이 당선됩니다. 이것이 승자독식주의입니다.

이렇게 각 주에서 뽑힌 선거인단이 미국 대통령에게 직접적인 투표를 행합니다.
그래서 선거인단을 많이 확보한 후보가 최종적으로 당선이 됩니다.
뭔가 복잡합니다. 그냥 바로 뽑으면 될 것을 왜 이러나 싶기도 하구요.
미국은 왜 이렇게 하는 걸까요?

기본적으로 미국은 우리가 잘 알 듯이 미합중국, United States Of America입니다.
즉, 각 연방들의 연합체이며 연방제 국가입니다.
미국을 대표하는 대통령이지만 그 대통령들은 각 연방들이 뽑는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미국은 땅덩어리가 엄청 큽니다.
그에 따라 인구도 천차만별이지요.
그렇다면 인구가 적은 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의견은 무시되기 쉽습니다.
그들이 없어도 당선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이런 간선제를 유지함으로써, 그 주의 의견을 작게나마 반영할 수 있습니다.
선거인단 몇 명 차이로 승패가 뒤집히는 경우가 있으니까요, 2000년 대선처럼요.

반면에, 직접 득표율과 선거인단의 선거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큰 단점도 존재합니다.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총 득표수(양 당의 선거인단 투표 수)는 힐러리 클린턴이 더 많았습니다.
하지만, 선거인단의 숫자에서 힐러리가 졌기 때문에 트럼프가 대통령이 될 수 있었습니다.
2000년 대선에서 앨 고어는 전체 투표 수가 많았으나 선거인단 4명이 모자라 패배했었습니다.
전체의 민의가 왜곡되기 쉽다는 큰 단점이 존재하는 것이지요.

이 글을 쓰는 2020년 11월 4일 저녁 9시 현재,
트럼프는 내가 이겼다며 개표를 중단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심지어 파티를 개최하려고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내가 트럼프를 싫어하는 건 아니지만! 참신한 캐릭터임은 확실합니다.. 이건 뭐..ㅋ
바이든 후보는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하게 접근하는 중이구요.
사전 투표용지가 아직 안 열려서 오늘 밤 안에 결과가 나오긴 힘들다는 것 같아요.

세계 최강대국의 대통령을 뽑는 선거니만큼, 온 세상이 다 지켜보고 있습니다.
어느 후보가 나오든 깔끔하게 끝날 것 같진 않아요.. 지저분..
민주주의 국가들의 큰형님 격인 미국이란 나라의 수준일수도 있고..
뭐.. 별로 맘에 들진 않네요 둘 다 하는 꼴이..
누가 되든 우리한테 이득이 되야 할텐데 말이죠..
여튼, 참 요란하고 시끄러우며 흥미진진한 선거입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시즈더데이
2020. 10. 29. 21:24 일상
728x90
반응형

미국 대선이 얼마 안 남았습니다.
세계 최강국이며 세계의 경찰(...)을 자부하는 미국의 대선이기에,
온 세상의 관심이 집중돼있습니다.

사실, 트럼프의 열세가 예상되던 선거였습니다.
한 나라의, 그것도 미국의 대통령으로서 너무나 종잡을 수 없던 모습들..
그리고 나라의 지도자라기 보다는 사업가의 모습이 부각됐었거든요.

하지만 역시 트럼프는 트럼프인가봅니다.
지난 대선에서도 당연히 떨어질 것이라 했던 트럼프가
‘샤이 트럼프’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지지 속에 당선이 됐었죠.
이번에도 트럼프의 막판 스퍼트가 예사롭지 않아보입니다.

지난 15일 즈음, 두 후보간 지지율 격차는 3.3% 포인트쯤 됐습니다.
선거 정보 사이트인 리얼클리어폴리틱스(RCP)가 14일 발표한 여론조사 평균에 따르면,
민주당의 조 바이든 후보는 48.9%, 공화당의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은 45.6%였습니다.
그리고 정확히 2주 뒤 두 후보 간 지지율 격차는 0.7%포인트로 확 줄었습니다.

대선을 엿새 앞둔 2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6대 경합주 가운데 4곳에서
바이든 후보와 오차범위 내 접전을 치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사진출처 중앙일보

트럼프가 이렇게 따라잡은 원인은 뭘까요.
우선 엄청 열심히 쫓아다니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 입원과 치료를 위해 열흘 넘게 유세를 중단해야 했는데,
이를 만회하기 위해 12일 유세를 재개한 이후 17일간
무려 31차례 선거 유세를 했다고 합니다.
TV토론을 했던 22일을 제외하고는 단 하루도 쉬지 않았고,
6대 경합주 뿐만 아니라 아이오와, 조지아,네바다 등 12개 주를 돌아다녔습니다.

지난 선거처럼 지지율 뒤집기를 위해 트럼프가 선택한 전략은,
유세를 미친듯이 하기! 인 것 같습니다.

미국 대선은 우리 나라에 어마무시한 영향을 끼치겠지요.
대북 관계를 생각하면 트럼프가 되는 것이 좋지만,
넘나 장사꾼 같은 사람.. 막 우기고..
그렇다고 바이든을 응원하자니..
그 할아버지 뭔가 좀.. 불안불안하고 막 그러네요ㅠ

미국 대선은 11월 3일 입니다.
우리 시간으로 11월 4일이면 결과를 알 수 있지 않을까..
그 날 하루 종일 뉴스를 가까이 해야할 것 같습니다. 너무 궁금하네요ㅋ


728x90
반응형
posted by 시즈더데이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