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62∼69세 대상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무료접종이 26일부터 시작되었는데요
맞기 전 미리 예약을 하는게 좋습니다.
질병관리청은 2020∼2021년 어르신 대상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 사업 대상을 이날부터 1951∼1958년 출생자인 만 62∼69세까지로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예전보다는 대상자가 확대되었지만
실재 필요한 분들은 맞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돈을 내고서도 물량이 없어 못맞는다는 불만이 있기도 하고
독감백신을 맞고 죽은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인데요
만 62세 이상 무료 접종 대상자는 총 1천58만명이다.
사실 작년에도 천명 이상
독감백신을 맞고 죽었다고 하네요
인과관계는 인정되지 않았고
70대 이상의 노인들이라
기저질환과 더불어 죽은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만 70세(195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이상 무료 접종은 앞서 지난 19일부터 시작되었구요
이번 어르신 대상 예방접종 지원 사업은 오는 12월 31일까지 진행됩니다.
그 외 나이대 접종 예정은 아직 없네요
돈내고 맞아야 합니다.
무료접종을 하려면
신분증을 지참하고 가야 합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앞서 어르신 예방 접종과 관련, "건강 상태가 좋은 날 접종하고 대기 중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한편 아픈 증상이나 평소에 앓고 있는 만성질환, 알레르기 병력 등을 예진 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청장은 또 "접종 후에도 의료기관에서 15∼30분간 이상 반응 여부를 관찰하고, 접종 당일에는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단 하라는대로 푹 쉬고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현재 독감백신 접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독감도 위험하고 코로나도 위험하니
우선 독감백신부터 맞는게 좋겠네요
백신 접종 재개 이후 독감 백신을 맞고 수일 만에 사망한 사례가 지난 24일 기준 48건이 보고되면서 접종 자체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진 상황이지만 보건당국은 접종과 사망 간의 인과성이 매우 낮다며 일정대로 추진하고 있다고 하네요
"방역당국과 전문가의 평가를 신뢰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하면서 예방접종을 받아달라"고 당부를 합니다.
어쨌든 방역수칙 지키는 것 처럼
안전수칙 꼭 지키며 살아야겠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이건희 사망 논평 상속세 편지 (0) | 2020.10.26 |
---|---|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금' 신청 내달 6일까지 1주일 연장. 신청대상자는? 지원금액 얼마? (0) | 2020.10.26 |
조두순 나이 얼굴 출소일, 안산 거주지 형량 나영이 근황 2차피해 국가 배상? (0) | 2020.10.26 |
살인자 고유정 현 남편과 이혼했다. 아들 죽이고 위자료는 고작 3천만원? (0) | 2020.10.26 |
독감백신 염려끼쳐 송구합니다. 하지만 접종 계속해야합니다? (0) | 2020.10.25 |